❇️ 단백질 비밀 푸는 데 결정적 기여한 AI… 노벨화학상까지 안았다 | 한국일보 (hankookilbo.com)

 

단백질 비밀 푸는 데 결정적 기여한 AI… 노벨화학상까지 안았다 | 한국일보

새로운 단백질을 인간의 손으로 만들고, 그 구조가 어떻게 생겼을지 인공지능(AI)으로 예측하는 방법을 찾는 데 기여한 연구자 세 명에게 노벨화

www.hankookilbo.com

 

노벨 화학상, 데이비드 베이커, 데미스 허사비스, 존 점퍼, 노벨 화학상 수상, 베이커 새로운 종류의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 허바시스와 점퍼 AI를 이용해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알파폴드'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 받아, 화학 분야 난제인 단백질 구조 설계과 실마리를 제공, 노벨 물리학상에 이어 노벨 화학상까지, 순수 자연과학에 주로 돌아갔던 노벨 과학상이 정보기술 (IT)과 융합된 응용과학쪽으로 확대, 패러다임 시프트에 크게 기여

+ Recent posts